한보광 스님(동국대학교) 「불교학 연구에 있어서 한국불교전서의 위상」
이금석 교수(동국대학교) 「한국불교전서 전산화에서의 누락문자관리」
이혜은 교수(동국대학교) 「전자문화지도에 포함되는 불전전산화 작업의역할」
이종철 교수(정신문화연구원) 「다언어 하이퍼텍스트구축의 사례연구」
허인섭 박사(고려대장경연구소) 「2000년 전산화본 고려대장경 완성의 학술적 의미와 미래전망」
토론 :
홍영식 교수 (동국대학교)
이용규 교수 (동국대학교)
윤원철 교수 (서울대학교)
김응철 교수 (중앙승가대)
송석구, 동국대학교 총장, 한국, 「전자불전과 미래불교의 향방 」
Jens Braarvig, University of Oslo, 노르웨이 「불교 텍스트 사전 」
Ishii Kosei, Komazawa Junior College, 일본, 「중국 불교 전집의 다양한 편집의 계보 분류 」
Ven. Huimin Bhikkhu, National Institute of the Arts, 대만, 「전자 중국 불전의 제작과 응용에 대한 연구 瑜伽師地論 (Yog c rabh mi)의 사례 연구 」
Shigeki Moro, The Association for Computerization of Buddhist Texts, 일본 「SAT 프로젝트를 위한 복잡 공간 전산화 과제 」
Robert Chilton, ACIP, 미국 「아시아 고전 입력 프로젝트 (ACIP)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허인섭, 고려대장경연구소, 한국, 「Report on the Digital Tripitaka Koreana 2001」
Dhananjay Chavan, Vipassana Research Institute, 인도, 「일체중생을 위한 부처님의 말씀 (비파사나 연구소는 팔리어 경전을 널리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어떻게 전자 매체를 작업하였는가)」
Aming Tu, Chinese Buddhist Electronic Text Association, 대만, 「중국 전자 불전 협회(CBETA)의 전자 『大正新脩大藏經』 」
Fred Coulson, Tibetan Buddhist Resource Center, 미국, 「전기(傳記)-저서(著書) 목록 검색 데이터베이스로 링크된 텍스트 이미지를 위한 TBRC와 그 모델들」
David Germano and Nathaniel Garson, University of Virginia, 미국 「티벳과 히말라야 전자 도서관」
Charles Muller, Toyo Gakuen University, 일본 「불교 전자 사전」
Michel Mohr, Hanazono University, 일본 「禪(Chan/Seon/Zen)인물과 그 텍스트들의 연결: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있어서의 문제와 개발」
Christian Wittern, Kyoto University, 일본 「알려지지 않은 영역의 차트화 선불교 연대기의 主題 지도의 적용」
홍영식, 동국대학교, 한국 「한국 불교전서 데이터베이스에서 누락 문자 검색」
John Lehman,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미국 「탈자(脫字) 문제 처리를 위한 프로젝트」
Ken Aoki, Columbia University, 미국 「Digitizing the Records of Japanese Nuns」
김성재, 고려대장경연구소, 한국 「Xml mark-up processed Digital Miao Fa Lien Ching」
사회자 : 이금석 교수(동국대학교)
「 성보문화재 콘텐츠의 필요성 」
발표: 한보광 교수(동국대학교)
토론: 김호성 교수(동국대학교)
「 불교미술 해설 문안의 재고 」
발표: 정우택 교수(동국대학교)
토론: 최응천 관장(국립춘천박물관)
「 불교문화 콘텐츠 전공 교육과정 」
발표: 이용규 교수(동국대학교)
토론: 홍영식 교수(동국대학교)
「 불교문화와 콘텐츠 」
발표: 신지용 팀장 (한국불교문화사업단 정보화사업팀)
토론: 김병주 과장(조계종 포교원 신도과)
「 아프카니스탄 바미안 석굴의 디지털 복원 」
발표: 박진호 강사 (디지털 복원전문가, 숙명여대 강사)
토론: 김양웅 실장 (호남대 가상현실응용지역기술혁신센터
사회자 : 황순일 교수(동국대학교)
「 한국 불교문화의 이해 」
발표: 한보광 교수(동국대학교)
「 불교문화 콘텐츠 개발의 방향 」
발표: 홍영식 교수(동국대학교)
토론: 이금석 교수(동국대학교)
「 우리나라의 문화재 정책현황과 과제 」
발표: 조현철 단장 (경북전문대 산학협력단장)
토론: 이용규 교수(동국대학교)
「 불교문화콘텐츠 구축 사례 및 방향 」
발표: 김양웅 실장 (호남대 가상현실응용지역기술혁신센터 실장)
토론: 박진호 강사 (디지털 복원전문가, 전주대 강사)
사회자 : 이용규 교수(동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 산업적 활용을 위한 불교문화 콘텐츠 구축 」
발표 : 이금석 교수(동국대학교)
토론 : 홍영식 교수(동국대학교)
「 문화 콘텐츠의 산업적 활용 방안 - 앙코르왓의 힌두신화를 중심으로 」
발표 : 황순일 교수(동국대학교)
토론 : 문을식 (동국대 인도철학과 강사)
「 산업적 활용을 위한 불교문화 콘텐츠 기획 」
발표 : 이재수(동국대 전자불전문화재콘텐츠연구소 전임연구원)
토론 : 조기룡(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 불교문화콘텐츠의 산업적 활용 현황 」
발표 : 유동환(한신대 디지털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토론 : 김광신 교수(전주대학교)
「 앙코르왓 콘텐츠 개발과정과 앙코르 경주 EXPO로의 적용 」
발표 : 박진호(KAIST 문화기술연구센터 선임연구원)
토론 : 박소연 교수(전주대학교)
사회: 황순일 교수(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교수)
기조강연 : 한보광 교수(동국대학교) 「 한국불교전서 전산화 성과 및 향후 과제 」
발표 :
홍영식 교수(동국대학교) 「 한국불교전서 전산화에 있어서 누락 문자 처리 시스템 」
이금석 교수(동국대학교) 「 한국불교전서 전산화에 있어서 웹검색 시스템 」
이용규 교수(동국대학교) 「 한국불교전서 전산화 데이터베이스의 분석 」
임종욱(동국대학교 전자불전 문화재콘텐츠연구소 객원연구원) 「 한국 문집 속의 불교 관련 자료 전산화 」
류승주 교수(동국대학교) 「 한국불교전서 역주 사업 」
종합토론
좌장 : 한보광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재콘텐츠연구소 소장)
토론 :
오윤희(고려대장경연구소 소장)
김상현(동국대학교 사학과 교수)
장계환(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홍영식(동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이금석(동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이용규(동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류승주(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임종욱 (전자불전·문화재콘텐츠연구소 객원연구원)
사회: 이용규 교수(동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발표 : 지창규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토론 : 황순일 (동국대 인도철학과 교수)
「 교판(敎判)과 종판(宗判) 」
발표 : 윤기엽(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토론 : 박경준(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 다이쇼 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의 편찬과정과 그 체재 」
발표 : 오윤희 (고려대장경연구소 소장)
토론 : 장계환(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 디지털 대장경의 미래와 고려대장경의 지위 」
발표 : 정승석( 동국대 인도철학과 교수)
토론 : 전해주(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 한글대장경의 체제와 구성 」
발표 : 박종린(동국역경원 편집부)
토론 : 한보광(동국대 선학과 교수)
「 신편제 한글대장경 목록에 대한 소고 」
사회: 황순일(동국대 인도철학과 교수)
김상현(동국대 사학과 교수)
토론 : 석길암(금강대 불교문화연구소 교수)
「 원효 화쟁사상의 현대적 의미 」
발표 : 오대혁 (동국대 국어국문학과 강사)
토론 : 김희경 (동국대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 원효설화와 스토리텔링 」
발표 : 한보광, 이재수(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토론 : 김기덕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 원효대사 다장르 스토리뱅크의 기획과 제작 」
발표 : 이재수(동국대), 이선수 (주)여금
토론 : 한상길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교수)
「 인터랙티브 맵으로 만나는 원효로드 」
발표 : 유동환 (호서대학교 문화기획학과 교수)
토론 : 박진호 (KAIST 문화기술연구센터 연구원)
「 원효 문화콘텐츠의 활용 방안 연구 」
좌장 : 한보광(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재콘텐츠연구소 소장)
토론 :
김상현(동국대 사학과 교수)
석길암(금강대 불교문화연구소 교수)
오대혁(동국대 국어국문학과 강사)
김희경(동국대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한보광, 이재수(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이선수 (주)여금
김기덕(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한상길(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교수)
유동환(호서대학교 문화기획학과 교수)
박진호(KAIST 문화기술연구센터 연구원)
11.22
HAN Bo Kwang (Director, Institute of Electronic Buddhist Texts & Culture content (EBTC), Dongguk Univ.)
「불전전산화의 미래 방향」
Jonathan Silk_Leiden University, Netherlands
「불교학의 미래 」
Simoda Masahiro_University of Tokyo, Japan
「국제협력을 통한 불교 연구 지식베이스 구축 인문학 진보의 모델」
Jens Braarvig_University of Oslo, Norway
「TLB와 보살장경」
A. Charles Muller_Center for Evolving Humanities, University of Tokyo
「전자불교사전 : 국제적협력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모델」
HWANG Soonil_Dongguk Univ
「한글대장경 전산화와 국제협력의 필요성」
LEE Jae soo_EBTC in Dongguk University
「전자불전과 불교문화 콘텐츠」
11.23
Marcus Bingenheimer_ Dharma Drum Buddhist College, Taiwan
「분배 가능한 전자불교연구데이터의 형성」
Achim Bayer_Donngguk University
「업과 저작권: 디지털로 재가공된 불전의 핵심 가치」
Nagasaki Kiyonori_International Institute for Digital Humanities, Japan
「SAT 프로젝트와 웹 솔루션」
HONG Young Sik_Dongguk University
「전자불전 누락문자의 관리」
LEE Keum Suk_Dongguk University
「전자불전 검색시스템의 국제적 협력」
LEE Yong Kyu_Dongguk University
「한국불교전서 데이터 베이스의 색인어 분석」
SHIN Byoung Sam_Dongguk University
「원효대사 다장르 스토리뱅크」
PARK So Ryung_Dongguk University
「한글대장경 웹서비스 시스템」
11.22
HAN Bo Kwang (Director, Institute of Electronic Buddhist Texts & Culture content (EBTC), Dongguk Univ.)
「불전전산화의 미래 방향」
Jonathan Silk_Leiden University, Netherlands
「불교학의 미래 」
Simoda Masahiro_University of Tokyo, Japan
「국제협력을 통한 불교 연구 지식베이스 구축 인문학 진보의 모델」
Jens Braarvig_University of Oslo, Norway
「TLB와 보살장경」
A. Charles Muller_Center for Evolving Humanities, University of Tokyo
「전자불교사전 : 국제적협력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모델」
HWANG Soonil_Dongguk Univ
「한글대장경 전산화와 국제협력의 필요성」
LEE Jae soo_EBTC in Dongguk University
「전자불전과 불교문화 콘텐츠」
11.23
Marcus Bingenheimer_ Dharma Drum Buddhist College, Taiwan
「분배 가능한 전자불교연구데이터의 형성」
Achim Bayer_Donngguk University
「업과 저작권: 디지털로 재가공된 불전의 핵심 가치」
Nagasaki Kiyonori_International Institute for Digital Humanities, Japan
「SAT 프로젝트와 웹 솔루션」
HONG Young Sik_Dongguk University
「전자불전 누락문자의 관리」
LEE Keum Suk_Dongguk University
「전자불전 검색시스템의 국제적 협력」
LEE Yong Kyu_Dongguk University
「한국불교전서 데이터 베이스의 색인어 분석」
SHIN Byoung Sam_Dongguk University
「원효대사 다장르 스토리뱅크」
PARK So Ryung_Dongguk University
「한글대장경 웹서비스 시스템」